전체메뉴

검색
  • 성인용 기저귀 생산량, 어린이용 제품 첫 추월
    성인용 기저귀 생산량, 어린이용 제품 첫 추월
    바이오 2025.07.31 17:52:41
    국내에서 생산한 성인용 기저귀의 양이 지난해 처음으로 어린이용 제품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저출생·고령화가 이어지면서 어린이용 기저귀는 수요가 감소한 반면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늘어 성인용 기저귀 수요는 늘어났기 때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31일 공개한 ‘2024년 위생용품 생산실적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성인용 기저귀 국내 생산량은 전년 대비 4.8% 늘어난 5만 7806톤으로 같은 기간 10.3% 급감해 5만 3286톤에 그친 어린이용 기저귀 생산량을 넘어섰다. 성인용 기저귀 생산량이 어린이용 기저귀를 넘어
  • [단독] 신동국 회장, 한미약품 지분 유동화… 투자회수 나서나
    [단독] 신동국 회장, 한미약품 지분 유동화… 투자회수 나서나
    바이오 2025.07.31 17:50:22
    한미사이언스(008930)의 최대 주주 신동국 한양정밀 회장이 한미약품(128940) 지분을 바탕으로 약 197억 원의 현금을 확보했다. 신 회장 행보의 배경에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시장 일각에서는 한미약품그룹 투자금 회수(엑시트)에 나서는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신 회장은 이달 29일 한양정밀 법인 명의로 197억 5340만 원 규모의 교환사채(EB)를 발행했다. 표면이율 0%에 2030년 7월 29일을 만기일로 잡았다. EB의 교환 대상은 신 회장과 한양정밀이 보유한 한미약품 주식으로 행사 가격은 34만
  • HK이노엔, 美 케이캡·NIP 백신 기대감에 6%대 상승 [Why 바이오]
    HK이노엔, 美 케이캡·NIP 백신 기대감에 6%대 상승 [Why 바이오]
    바이오 2025.07.31 17:28:40
    HK이노엔의 주가가 대표 신약 ‘케이캡’의 미국 임상 완료 기대감과 국가예방접종(NIP) 관련 코로나19 백신 유통 계약 가능성에 힘입어 상승했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HK이노엔은 이날 정규장에서 전 거래일보다 6.76%(2850원) 오른 4만 5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케이캡 미국 임상 3상 일정이 3분기 완료 목표로 진행 중인 가운데 백신 유통 계약 이슈까지 겹치면서 투자 심리를 자극한 것으로 풀이된다. HK이노엔은 미국에서 미란성 식도염 치료제로서 케이캡의 유지요법 임상3상을 진행 중이며 이번 3분기 내 완료를 목표로 하고
  • 보령, 2분기 영업익 254억… 듀카브·엘제로젯 약진
    보령, 2분기 영업익 254억… 듀카브·엘제로젯 약진
    바이오 2025.07.31 17:09:43
    보령(003850)이 올해 2분기 영업이익 254억 원을 기록하며 수익성 지표에서 뚜렷한 개선을 보였다. 고혈압·이상지질혈증 치료제 등 전략 품목 성장과 원가 절감 효과가 실적을 견인한 가운데 금융비용 증가 여파로 순이익은 큰 폭 감소했다. 31일 보령은 2025년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이 251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 감소했다고 공시했다. 영업이익은 254억 원으로 26.1% 늘었다. 그러나 당기순이익은 89억 원으로 62.5% 급감했다. 순이익 감소는 금융비용의 급증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2분기
  • JW중외제약, 2분기 영업이익 254억… 전년比 103%↑
    JW중외제약, 2분기 영업이익 254억… 전년比 103%↑
    바이오 2025.07.31 15:54:30
    JW중외제약(001060)이 주력 전문의약품의 고른 성장에 힘입어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두 배 이상 늘었다. 리바로젯과 헴리브라, 페린젝트 등 오리지널 제품이 매출 견인을 이끌었고 수익성이 높은 수액제도 꾸준한 흐름을 보였다. 31일 JW중외제약은 잠정실적 공시를 통해 2025년 2분기 별도 기준 매출이 189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2% 증가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54억 원으로 103.3% 급증했다. 다만 당기순이익은 정기 세무조사에 따른 일회성 추징금 영향으로 적자 전환했다. 실적을 견인한 것은 의사의
  • “지투지바이오, 글로벌 약물전달 플랫폼 기업 도약”
    “지투지바이오, 글로벌 약물전달 플랫폼 기업 도약”
    바이오 2025.07.31 14:26:08
    지투지바이오가 코스닥 상장을 계기로 글로벌 약물전달 플랫폼 기업에 도전한다. 대량생산과 고함량 약물 탑재가 가능한 독자 플랫폼 ‘이노램프’를 활용해 글로벌 빅파마들과의 협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희용(사진) 지투지바이오 대표는 31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기업공개(IPO) 기자간담회에서 “2027년 완공 예정인 제2 GMP 공장이 가동되면 세마글루타이드 기준 연간 700만 명분의 생산 능력을 확보하게 된다”며 “대량 생산과 고함량 탑재, 고생체이용률을 구현한 이노램프 기술은 이미 글로벌 파트너사들로부터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고 밝
  • 루카스바이오, 중증 코로나19 완치 성과 美 학술지 게재
    루카스바이오, 중증 코로나19 완치 성과 美 학술지 게재
    바이오 2025.07.31 13:31:48
    루카스바이오는 최근 미국감염학회(IDSA) 학술지에 중증 코로나19 환자에게 T세포를 활용한 면역세포치료제를 투여해 완치한 사례가 실렸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치료법이 없던 코로나19 장기 감염자를 환자 혈액에서 뽑은 T세포로 만든 치료제로 완치시킨 세계 첫 임상 사례다. 이래석 서울성모병원 감염내과 교수팀은 코로나19 중증 합병증 등을 앓는 면역저하 환자들의 치료에 자가 바이러스 항원특이 T세포가 효과 있는지 등을 검증하기 위해 이번 연구를 진행했다. 혈액암을 앓고 있거나 장기이식 등으로 면역억제 치료를 받는 환자들은
  • 수련협의체 논의 본격화… 政 "다음주 내 합의 후 하반기 전공의 모집공고"
    수련협의체 논의 본격화… 政 "다음주 내 합의 후 하반기 전공의 모집공고"
    바이오 2025.07.31 13:30:06
    전공의 복귀를 위한 수련협의체가 논의를 본격화함에 따라 정부는 9월 하반기 전공의 수련 개시에 맞춰 모집공고를 내기 위해 구체적 자격 요건 등에 대해 합의를 마치기로 했다. 정정부는 시간이 없는 만큼 세부 내용에서 전공의들과 합의를 이루지 못해도 하반기 전공의 모집공고를 다음주까지는 낼 방침이다. 보건복지부는 31일 오전 서울 중구 달개비에서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등과 함께 제2차 수련협의체 회의를 열고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과 이들의 복귀 방안 등을 논의했다. 앞서 지난 25일 복지부와 대전협, 수련환경평가위원회, 대한수련병원협
  • "중국도 뚫었다" 유한양행 '렉라자' 美·日 이어 中 허가
    "중국도 뚫었다" 유한양행 '렉라자' 美·日 이어 中 허가
    바이오 2025.07.31 13:00:40
    유한양행(000100)의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렉라자'가 중국에서 품목 허가를 받았다. 31일 중국 국가의약품감독관리국(NMPA)에 따르면 렉라자는 전날 공개된 의약품 승인 명단에 포함했다. 중국 판매에 따른 마일스톤(단계적 기술료)은 4500만 달러다. 마일스톤은 첫 환자 투여 시 지급된다. 렉라자는 유한양행이 미국 존슨앤드존슨(J&J) 자회사인 얀센에 2018년 기술수출한 항암제다. 존슨앤드존슨은 이 약을 항체치료제 '리브리반트'와 함께 쓰는 병용요법으로 개발했다. 비소세포폐암 중 EGFR 엑
  • 美의약품 관세 15% 전망 속 바이오기업 '셈법 복잡'
    美의약품 관세 15% 전망 속 바이오기업 '셈법 복잡'
    바이오 2025.07.31 11:20:06
    미국이 우리나라에 대한 의약품 관세에 있어 ‘최혜국 대우’를 약속하며 바이오 기업들은 일단 안도하는 분위기다. 유럽과 일본이 의약품에 15% 관세를 부과받은 만큼 이에 준하거나 낮은 관세를 기대할 수 있게 되면서다. 다만 원료의약품과 완제의약품 모두에 관세를 부과할 지, 복제약에 바이오시밀러를 포함할 지 등 구체적인 방안은 나오지 않아 기업마다 셈법이 복잡해지고 있다. 31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미국은 한국에 8월 1일부터 부과하기로 예고한 상호관세를 25%는 15%로 낮추고 의약품 관세도 다른 나라에 대비해 불리
  • 시지메드텍, 치과 부품 제조 기업 '덴탈오션' 인수
    시지메드텍, 치과 부품 제조 기업 '덴탈오션' 인수
    바이오 2025.07.31 11:10:02
    시지메드텍(056090)이 치과 부품 제조 전문기업 '덴탈오션'을 인수했다고 31일 밝혔다. 덴탈오션은 하부구조물인 '픽스쳐'(Fixture) 개발, 제작, 후처리 공정 등 기술 역량을 보유한 치과부품 제조 전문기업이다. 이번 인수를 통해 시지메드텍은 치과 임플란트 핵심 부품의 자체 제조 기반을 확보해 기존 척추 임플란트 솔루션에 이어 디지털 덴티스트리(치과 진료·치료 디지털화) 제품군의 설계?제조 역량을 한층 강화하게 됐다. 덴탈오션은 맞춤형 픽스쳐와 수술용 지그(임플란트를 정확한
  • 대웅제약 보톡스 ‘나보타’ 상반기 매출 1154억 사상최대
    대웅제약 보톡스 ‘나보타’ 상반기 매출 1154억 사상최대
    바이오 2025.07.31 10:56:24
    대웅제약(069620)의 보툴리눔 톡신 제제 ‘나보타’가 올 상반기 매출 1000억 원을 돌파해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31일 대웅제약에 따르면 올 상반기 나보타 매출액은 115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28% 성장했다. 국내외 시장에서 프리미엄·맞춤형 마케팅 전략이 성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나보타는 2019년 아시아 최초로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획득하며 미국 시장에 진출했다. 현지 점유율 14%로 2위에 올라 선전하고 있다. 남미 최대 톡신 시장인 브라질에서는 초도 계약 대비 10배 규모인 1
  • 이건희 프로젝트 성과…혈액검사로 모야모야병 진단 길 열렸다
    이건희 프로젝트 성과…혈액검사로 모야모야병 진단 길 열렸다
    바이오 2025.07.31 10:55:51
    간단한 혈액 검사만으로 소아 뇌혈관질환인 모야모야병을 진단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암과 희귀질환으로 고통을 겪는 어린이들을 위해 이건희 삼성전자 선대회장의 유가족이 내린 사회 공헌 결단이 또 하나의 결실로 이어졌다. 김승기 서울대병원 소아신경외과 교수와 고은정 제이엘케이 박사, 최승아 소아암·희귀질환지원사업단 연구교수는 소아 모야모야병 환자의 혈장에서 'miR-512-3p'라는 새로운 바이오마커를 발굴해 그 기능과 작용 기전을 규명했다고 31일 밝혔다. 모야모야병은 특별한 원인 없이 대뇌에 혈액을 공
  • 인벤티지랩, 테르나와 mRNA 대사질환 신약 공동개발 [Why바이오]
    인벤티지랩, 테르나와 mRNA 대사질환 신약 공동개발 [Why바이오]
    바이오 2025.07.31 10:48:31
    약물전달 플랫폼 기업 인벤티지랩(389470)이 대사질환 분야 mRNA 치료제 개발에 본격 착수한다. 3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인벤티지랩은 31일 지질나노입자(LNP) 기반 치료제 전문기업 테르나테라퓨틱스와 FGF-21 기반 mRNA-LNP 대사질환 치료제의 글로벌 개발·상업화 권리에 대한 독점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으로 인벤티지랩은 테르나의 LNP 플랫폼 ‘TRL’ 기술을 도입하고 자사의 유전물질 전달 플랫폼 IVL-GeneFluidic®을 접목한 제형도 공동개발한다. FGF-21은 간에서 분비돼
  • 전공의 수련협의체, 오늘 2차회의… '수련 연속성' 등 본격 논의
    전공의 수련협의체, 오늘 2차회의… '수련 연속성' 등 본격 논의
    바이오 2025.07.31 09:10:38
    의대 정원 증원에 반발해 집단 사직한 전공의들이 복귀할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협의체 회의가 31일 속개된다. 늦어도 다음달 8일 이전에는 하반기 전공의 모집공고가 시작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수련 연속성’ 문제 등에서 의견 접근을 볼지 주목된다. 보건복지부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모처에서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등과 함께 수련협의체 제2차 회의를 열어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과 복귀 방안 등을 논의한다. 수련협의체는 전공의들이 의료현장에 돌아올 여건을 마련하고자 지난 25일 출범했으며 복지부와 대전협, 수련환경평가위원회, 대한수련병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