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위험이 급증해 다시 금융위기 수준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부진과 부동산시장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채무자들의 상환능력은 떨어지고 압박감은 커진 탓이다.
22일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가계부채 위험의 급등과 시사점'에 따르면 지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떨어지던 가계부채 위험이 2011년부터 다시 상승해 올해는 금융위기 수준에 인접했다. 가계부채 '압박부담'과 '상환능력' 변수를 표준화 데이터로 전환해 가중평균한 수치를 산출한 결과 가계부채 위험 수준은 올해 148.7로 ▦2010년 112.5 ▦2011년 132.5 ▦2012년 141.5 등 3년째 상승하고 있다. 2002년 카드사태(82),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154.4)와 비교하면 상당히 높은 수준임을 짐작할 수 있다.
압박부담은 금융위기 직전부터 가파르게 상승했다. 2008년 105.6으로 100을 넘어서더니 지난해 131.4에서 올해는 154로 껑충 뛰었다. 최근 들어 저금리 기조에 따라 가처분소득 대비 이자지급 비중이 안정됐는데도 비은행 가계대출 비중이 급등하고 연체율이 상승한 탓이다.
상환능력은 2008년 금융위기 당시 203.2까지 치솟다가 다소 개선되는 흐름이었지만 지난해(151.6)와 올해(143.5) 다시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박덕배 현대경제연구원 전문연구위원은 "경기 및 부동산시장 침체 등 현재의 경제여건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위험 수준의 상승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내다봤다. 현재는 정부 정책으로 원금상환이 미뤄지고 은행건전성도 유지되고 있지만 대외충격이 우리 경제에 영향을 미칠 경우 높은 가계부채가 엄청난 부담으로 돌아올 것이라는 설명이다.
박 연구위원은 "전세가격을 안정시켜 서민들의 추가 전세자금 대출수요를 축소시키고 급격한 출구전략 시행에 따라 금리인상이 너무 가파르게 이뤄지지 않도록 가계 이자부담을 안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