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투자 규제 여파로 저축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규모가 큰 폭으로 줄어들고 있다. 6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자산규모가 1조3,000억원을 웃도는 9개 대형 저축은행의 개인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지난해 9월 말에는 1,705억원에 달했으나 12월 말 1,229억원으로 줄어든 데 이어 올 3월 말에는 1,049억원으로 떨어졌다. 지난해 9월 말 이후 6개월 동안 650억원(38%)이나 줄어들고 올 들어서는 179억원(14%) 감소한 것이다. 개별 저축은행 중에서는 경기저축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이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대출잔액이 지난해 9월 말 475억원에서 올 3월 말에는 79억원으로 무려 83%나 줄었다. 계열사인 한국저축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잔액도 329억원에서 141억원으로 57% 감소해 이들이 저축은행 업계 전체의 대출감소를 주도했다. 이처럼 저축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이 크게 줄어드는 것은 정부의 부동산 투자 규제 정책으로 신규 대출 수요는 사라진 반면 기존 대출은 속속 상환되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지역의 한 저축은행장은 “시중은행과 같은 담보인정비율(LTV)ㆍ총부채상환비율(DTI)을 적용받으면서 후순위 대출도 어려워졌다”며 “고객들은 금리가 높은 저축은행을 찾을 이유가 없어졌고 은행들이 적극적인 대출 세일에 나서자 만기가 돌아오기도 전에 은행으로 빠져나가는 사례가 크게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한편 주택담보대출 수요 감소로 돈이 남아돌자 저축은행들은 적절한 자금운용수단을 찾지 못해 고심 중이다. 그래서 일부 저축은행은 해외로 진출하거나 투자금융(IB) 분야를 강화하고 있다. 한국ㆍ현대스위스ㆍ미래ㆍ토마토 등은 IB사업 진출을 선언했고, 부산저축은행은 이달 중 캄보디아에 상업은행을 개점할 예정이다. 경기지역의 한 저축은행장은 “만기도 안된 대출까지 상환하는 상황이라 신규 대출은 기대조차 할 수 없어 다른 신규 투자처를 물색 중”이라며 “소액신용대출ㆍ부실채권 인수 등 새로운 사업영역이나 베트남 등으로 해외투자 지역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대출 할 곳이 마땅치 않기 때문에 수신금리 하락세는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국민ㆍ신한ㆍ우리ㆍ하나ㆍ외환 등 5개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도 올 들어 감소추세다.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지난해 꾸준히 증가하면서 지난해 12월 말 153조2,544억원까지 늘어났지만 올 1월 2,636억원이 감소한 후 계속 줄어들고 있다. 4월 말 현재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총 152조7,141억원으로 3월에 비해 785억원 감소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