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발전용 수소 연료전지 해외 시장 개척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국내 최초로 1,300만달러 규모로 수출되는 발전용 연료전지 4기(총 1.8MW)가 중국 광동성 포산시에 분산형 전원으로 설치돼 7개동 400가구의 아파트와 1개동의 상업 건물에 전기와 냉난방용 열을 공급한다. 정부는 국회에서 논의 중인 수소법 개정안이 확정되는 대로 ‘청정수소발전구매공급재도(CHPS)’와 청정수소 인증제 도입에 나설 계획이다.
박기영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은 27일 전북 익산시 두산퓨얼셀에서 개최된 ‘발전용 연료전지 수출 기념 출하식’에 참석해 이 같은 계획을 발표했다.
산업부는 “지난 2019년 1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해 연료전지 산업생태계 육성에 나섰다”며 “연구개발(R&D) 지원, 연료전지용 전용 가스요금제 도입 등 정책적 지원도 아끼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어 세계 최대 규모의 발전용 연료전지 시장이 국내에 조성됐고, 국산화율 100%에 육박하는 연료전지 산업생태계가 구축됐으며 일자리도 3,000개 이상이 창출됐다고 덧붙였다. 산업부에 따르면 발전용 연료전지의 국산화율은 1차 협력업체 구매액 기준 98% 이상, 2차 협력업체 구매액 기준 64% 이상이다. 고용인원은 두산퓨얼셀 400명 이상, 협력업체 고용인원 포함시 3,000명 이상이다.
국내 발전용 연료전지 설치 규모는 2019년 397MW, 2020년 597MW, 2021년 6월 662MW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미국도 같은기간 382MW, 483MW, 527MW로 늘었다. 수소경제 로드맵상 2040년 국내보급은 8GW, 수출 목표는 7GW 수준이다.
정부는 또 탄소중립 달성과 전세계 수소경제 선도를 위해 발전용 연료전지를 비롯해 수소 생산, 저장·유통 분야 등 수소산업 전 분야의 경쟁력 확보방안이 담긴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을 연내 발표한다.
박 차관은 “이번 발전용 연료전지 수출은 그간 민관 공동의 연구개발 역량 확충과 생태계 조성 노력의 결과물”이라며 “스택구조 개선, 적층한계 돌파 등 연료전지의 발전 효율을 대폭 개선하고, 소재·부품 개발로 주 기기 단가를 2040년까지 33% 수준으로 낮춰 세계시장을 선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