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프리즘* 맞춤형 경제 브리핑
* 편집자 주: ‘AI PRISM’(Personalized Report & Insight Summarizing Media)은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개발한 ‘인공지능(AI) 기반 맞춤형 뉴스 추천 및 요약 서비스’입니다. 독자 유형별 맞춤 뉴스 6개를 선별해 제공합니다
[주요 이슈 브리핑]
■ VEU 철회: 미 상무부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000660)의 검증된 최종 사용자 지위를 철회하며 내년 1월부터 중국 공장 장비 반입 시마다 승인을 받아야 한다고 발표했다. 2022년 10월 수출통제 발표 당시 조건부로 풀어줬던 예외 조치를 무효화한 것으로 사실상 미국 장비 반입을 전면적으로 막겠다는 의도다.
■ 투자 딜레마: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중국에 투자한 45조 원 규모의 메모리 공장들이 미국 장비 규제로 진퇴양난에 빠졌다. 철수도 추가 투자도 불가능한 상황에서 중국 공장들이 구형 메모리만 생산하는 레거시 기지로 전락하며 전체 생산량의 40% 비중이 기술 진보 없는 제품만 만들어야 하는 위기다.
■ 중국 굴기: 캠브리콘이 상반기 매출 4348% 급증을 기록하고 알리바바가 엔비디아 대체 AI 반도체 개발에 성공하며 중국의 기술 자립이 예상을 뛰어넘는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중국 정부의 자국산 반도체 50% 이상 사용 의무화와 함께 “중국 기술 발전 과소평가” 경고가 현실이 되면서 한국 기업 설 자리가 좁아지고 있다.
[주식투자자 관심 뉴스]
1. 美中 힘싸움…‘이중 덫’ 걸린 K반도체
- 핵심 요약: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공장에 대한 미국산 장비 반입 허용을 철회하면서 국내 반도체 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미 상무부는 29일 두 회사의 검증된 최종 사용자(VEU) 지위를 무효화했으며 이로 인해 내년 1월부터 장비 반입 시마다 승인을 받아야 한다.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과 쑤저우에서 낸드플래시 생산 공장과 후공정 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SK하이닉스는 우시 D램 공장과 충칭 패키징 공장을 가동하고 있다. 미중 패권 경쟁 격화로 중국 상무부까지 강력 반발하면서 국내 기업들이 예상치 못한 추가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천문학적 투자를 이미 집행한 상황에서 철수도 추가 투자도 불가능한 진퇴양난에 빠진 모습이다.
2. 中 메모리공장에 45조 쏟았는데…추가투자·사업유지 ‘진퇴양난’
- 핵심 요약: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중국 메모리 공장에 투자한 금액이 45조 원에 달해 미국 규제에도 불구하고 철수가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다. 삼성전자 시안 공장은 전체 낸드 생산량의 3540%를 담당하고 SK하이닉스 우시 공장은 D램 생산량의 40%를 차지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시안에 총 29조 6000억 원을 투자했고 SK하이닉스는 우시 공장에 5조 원, 인텔 낸드사업부 인수에 10조 원을 썼다. 이번 규제로 차세대 장비 반입이 막히면서 중국 공장의 첨단 메모리 공정 전환이 불가능해졌다. 한편 중국 D램 업체 CXMT는 올해 생산량이 50% 이상 늘어 시장 점유율이 1분기 6%에서 4분기 8%로 확대될 전망이며 삼성 중국 법인들의 매출은 203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캠브리콘 이어 알리바바도 AI칩 개발…“中 과소평가” 올트먼의 경고 현실되나
- 핵심 요약: 중국 최대 클라우드 업체 알리바바가 엔비디아를 대체할 새 인공지능(AI) 반도체 개발에 성공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했다. 기존 특정 애플리케이션용에서 광범위한 AI 추론 작업이 가능한 다재다능한 칩으로 진화해 엔비디아 H20의 공백을 메우고 있다. 알리바바는 대만 TSMC 대신 중국 파운드리 기업을 통해 제작하고 있으며 중국 정부는 AI 데이터센터에 자국산 반도체 50% 이상 사용을 의무화했다. 화웨이도 올해부터 전용 공장에서 AI 반도체 생산을 시작했고 캠브리콘은 상반기 매출이 4348% 급증한 5615억 원을 기록하며 엔비디아 대체재로 확고히 자리잡았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경고한 “중국 기술 발전 과소평가” 우려가 현실이 되면서 미중 갈등 속 한국 기업들의 설 자리가 더욱 좁아지는 양상이다.
[주식투자자 참고 뉴스]
4. K배터리 3사, 북미 재생에너지 공략 ‘속도’
- 핵심 요약: LG에너지솔루션(373220)과 삼성SDI(006400)가 9월 8~11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북미 최대 재생에너지 전시회 ‘RE+ 2025’에 참가한다고 발표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최대 5.1㎿h 에너지 저장이 가능한 JF2 AC/DC LINK 시스템과 북미 지역 내 생산 예정인 각형 LFP 배터리 실물을 전시할 예정이다. 삼성SDI는 기존 대비 에너지 밀도가 17% 향상된 SBB 1.7과 업계 최고 수준 수명을 갖춘 SBB 2.0을 공개한다. 미국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시행 이후 현지화가 고객사의 핵심 요구사항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SK온도 포드 합작공장에서 이달부터 첫 양산을 시작했다. 배터리 업계는 설계부터 서비스까지 전 밸류체인을 아우르는 현지화 전략으로 경쟁력 강화에 나서고 있는 모습이다.
5. 조정장엔 목표전환형 펀드…설정액 2배 ‘쑥’
- 핵심 요약: 목표전환형 펀드 설정액이 2조 1489억 원으로 지난해 말 1조 1155억 원 대비 92% 급증하며 투자자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상품 수도 지난해 말 48개에서 29일 기준 87개로 80% 넘게 늘어나 2023년 말 21개 대비 4배 이상 증가했다. 목표전환형 펀드는 설정 당시 제시한 목표 수익률 달성 후 채권 같은 안전자산 비중을 늘려 투자 자금 방어에 집중하는 구조다. KCGI자산운용의 목표전환형 펀드 3개에는 5000억 원 가까운 자금이 몰렸고 한국투자신탁운용과 삼성자산운용의 펀드들도 조기 목표 수익률 달성에 성공했다. 알고리즘 매매 증가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 등 대외 불확실성 심화로 투자자들이 안정적 수익 확보를 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6. 홀대 딛고…유럽 1위 노리는 한국타이어
- 핵심 요약: 한국타이어가 2000년대 초반 불모지였던 유럽 시장 개척 20여 년 만에 헝가리와 독일에서 점유율 30%로 1위를 차지하는 성과를 거뒀다. 2007년 헝가리 라칼마스 공장 가동 이후 현지 생산을 통한 경쟁력 확보와 올웨더 타이어 등 고품질 제품 출시로 시장 장악력을 높여왔다. 벤츠·BMW·아우디·포르쉐·테슬라 등 프리미엄 완성차 브랜드들이 OE(차량 출시 시 장착) 브랜드로 채택하면서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현재 유럽 전체 시장에서 2~3위권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으며 헝가리 공장은 벌써 세 번째 증설이 진행되고 있다. 공장 관계자는 “타이어를 만드는 대로 판매가 된다”며 “아직도 물량이 부족하다”고 말할 정도로 수요가 넘치고 있는 양상이다.
📰 경제 뉴스 서바이벌 퀴즈 : 기사, 제대로 읽으셨나요?
복잡한 경제 뉴스 속 핵심을 잡아내는 당신의 실력을 테스트해 보세요.
🎯 블랙스완 퀴즈 - 반도체 연쇄반응
[美中 힘싸움…'이중 덫' 걸린 K반도체]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 공장에 대해 미국산 장비 반입에 관한 규제를 강화하기로 하면서 국내 반도체 업계의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다."
미국의 VEU(검증된 최종 사용자) 지위 철회가 가져올 후폭풍은 어떻게 전개될까요. 순서대로 나열해 보세요.
A. 한국 반도체 장비 업체들도 마찬가지다.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 못지않게 이번 규제 강화의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
관련기사
B. 중국의 대표 D램 업체인 CXMT의 올해 생산량은 전년 대비 50% 이상 늘었다.
C. 차세대 장비를 반입하지 못할 경우 중국 공장의 첨단 메모리 공정 전환은 불가능해진다.
D. 중국은 전국 AI 데이터센터에 자국산 반도체를 50% 이상 사용하도록 하는 의무화 조치도 내렸다.
💡 힌트: 관련기사 (美中 힘싸움…'이중 덫' 걸린 K반도체 바로가기)
⚖️ 죄수의 딜레마 퀴즈 - 찬반 분류
[中 메모리공장에 45조 쏟았는데…추가투자·사업유지 '진퇴양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중국 공장 운영을 두고 고민 중입니다. 아래 보기 중 ‘중국 사업 유지’ 주장과 ‘단계적 철수’ 주장의 근거가 찾아보세요.
• 삼성전자 중국 투자액: 시안 1·2공장 약 30조원
• SK하이닉스 중국 투자액: 우시 5조원 + 인텔 인수 10조원
• 중국 공장 생산 비중: 전체의 35~40%
[중국 사업 유지 vs. 단계적 철수]
1. 삼성전자 시안 공장은 유일한 낸드플래시 해외 거점으로 전체 낸드 중 35~40%가량을 생산한다.
2. 최악의 경우 전체 메모리 생산량 중 40%가량을 기술 진보가 없는 레거시 제품만 생산해야 한다.
3. 삼성 차이나반도체의 상반기 매출은 전년 대비 36.4% 하락했다.
4. 중국이 미국의 조치에 크게 반발하고 있어 국내 반도체 기업들의 경영 환경은 더 어려워질 수 있다.
5. 불확실성이 확대되면 공장 가동과 운영에도 추가적인 비용이 든다.
6. 중국 업체들이 자국 장비를 발판 삼아 점유율을 쉽게 늘릴 수 있다.
💡 힌트: 관련기사 (中 메모리공장에 45조 쏟았는데…추가투자·사업유지 '진퇴양난' 바로가기)
🧩 애니멀 스피릿 - 빈 칸에 들어갈 용어 맞추기
[캠브리콘 이어 알리바바도 AI칩 개발…"中 과소평가" 올트먼의 경고 현실되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수출통제와 중국 정부의 ‘ㅇㅇㅇ' 의심 속에 엔비디아 H20 반도체 대중 수출이 차질을 빚는 가운데 그 공백을 알리바바를 비롯한 중국 업체들이 메울 것이라는 전망이 점차 현실화하는 것이다.”
빈칸에 들어갈 ‘ㅇㅇㅇ’은 뭘까요? 중국이 미국산 AI 칩을 거부하는 이유입니다.
• 미국 정부의 'ㅂㄷㅇ' 의심 속에 엔비디아 H20 반도체 대중 수출이 차질
• 보안 위험을 이유로 이를 구매하지 못하도록
• 시스템의 '뒷문'을 의미하는 IT 보안 용어
💡 힌트: 관련기사 (캠브리콘 이어 알리바바도 AI칩 개발…"中 과소평가" 올트먼의 경고 현실되나 바로가기)
📋 퀴즈 정답
# 블랙스완 : C → D → B → A
미국 장비 반입 불가로 첨단 공정 전환 중단(C) → 중국 정부가 자국산 50% 의무화 정책 발표(D) → 보호받은 중국 기업 CXMT 생산량 50% 증가(B) → 결과적으로 한국 장비업체들도 타격(A)
# 죄수의 딜레마 : [중국 사업 유지]: 1, 4, 5번 vs. [단계적 철수]: 2, 3, 6번
# 애니멀 스피릿 : 백도어. 중국이 미국 제품의 백도어(시스템 뒷문)를 통한 정보 유출을 우려해 구매 거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