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
오후 1:00 현재 코스닥은 36:64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오락·문화업(1.58%↓)
증권News봇 2025.07.16 13:00:2416일 오후 1시 0분 현재 코스닥은 전일 대비 1.26p(-0.16%) 하락한 811.62로, 36(매도):64(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운송업(-2.14%), 오락·문화업(-1.58%), 유통업(-1.44%)이며, 강세업종은 통신업(+1.86%), 기타 제조업(+0.72%), 섬유·의류업(+0.67%)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오락·문화업이 23:77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건설업은 64:36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1,422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1,142억, 기관은 206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SGA(049470)가 29.98% 오른 1,539원을 기록 중이고, 톱텍(108230)(+29.78%), 코스텍시스(355150)(+26.18%)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CSA 코스믹(083660)(-16.22%), 디와이디(219550)(-15.84%), 자이언트스텝(289220)(-9.91%)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1104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2개 종목을 포함해 528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1:00 현재 코스피는 35:65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의료정밀업(1.27%↓)
증권News봇 2025.07.16 13:00:1416일 오후 1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8.44p(-0.57%) 하락한 3196.84로, 35(매도):65(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증권업(-4.21%), 보험업(-1.96%), 건설업(-1.85%)이며, 강세업종은 전기가스업(+0.66%), 전기전자업(+0.32%), 운수장비업(+0.22%)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의료정밀업이 19:81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전기전자업은 54:46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4,412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2,662억, 기관은 2,326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티와이홀딩스우(36328K)가 29.89% 오른 8,430원을 기록 중이고, 성안머티리얼스(011300)(+20.81%), 하이스틸(071090)(+14.96%)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달바글로벌(483650)(-7.92%), 미래에셋증권(006800)(-5.76%), SBS(034120)(-5.47%)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686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212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코>코스텍시스, 상한가 진입.. +29.99% ↑
증권News봇 2025.07.16 12:58:55오후 12시 58분 현재 코스텍시스(355150)가 +29.99% 오른 14,650원(▲3,380)으로 장중 상한가에 진입했다. 거래대금은 317억9,236만, 거래량은 230만926주를 기록하고 있으며, 수급측면으로는 46(매도):54(매수)의 매수우위를 보이고 있다.코스텍시스는 전일 하락(11,270원, ▼-280, -2.42%) 마감했으나, 이 시각 현재 장중 상한가를 기록하며 강세를 보이고 있다.지난 1개월간 코스텍시스는 상승 17회, 하락 13회를 기록했고, 주가수익률은 67.43%였다. 이 기간 '일반전기전자업' 업종 평균 주가수익률은 12.11%를 기록했다.현재 '일반전기전자업' 총 312개 종목 중 상승 종목은 108개로, 일부 종목만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파인엠텍(441270) +11.64%, 에이텀(355690) +9.95%, 강원에너지(114190) +7.82%)[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기업 성장 사다리 놓는다" BJFEZ 전략품목 기반 전방위 지원
사회전국 2025.07.16 12:42:04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이 부산·경남 중소·중견기업의 사업 다각화와 전략산업 육성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은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BJFEZ) 전략품목 신규사업화 컨설팅 지원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16일 밝혔다. 이 사업의 핵심은 기존의 자문·조언 수준을 넘어, 사업 아이디어 구체화부터 시장·사업성 검토, 실행계획 수립, 투자유치 제안서 작성 등 사업계획 전 단계를 맞춤형으로 지원하는 점이다. 기업이 직접 선정한 전문가와의 1대1 방식, 최대 500만 원 상당의 컨설팅을 제공하며 6주간 최대 10회까지 지원한다. 부산진해경자청이 주목하는 전략품목은 커피콩(생두), 콜드체인 부분품, 수소에너지, 선박용 기계부품, 로봇부속품 5개다. 이는 지역 산업육성 전략과 부산신항 물동량 분석을 반영한 결과로, 부산진해경자청은 관련 산업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산업 생태계의 체질 개선과 신사업 모델 확보에 선제적 대응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이번 컨설팅은 단발성에 그치지 않는다. 지원 종료 후에도 ‘전략산업(품목별) 혁신 얼라이언스’로 이어지는 후속 연계 체계를 구축한다. 기업이 도출한 신규사업이 실제 정책과제나 국비연계 과제로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중장기적으로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서다. 사업 참여를 원하는 기업은 경자청 누리집에서 신청서를 내려받아 이메일로 제출하면 된다. 박성호 부산진해경자청장은 “이번 컨설팅 사업은 전략품목을 활용한 신규사업의 기획과 실행력을 동시에 강화하는 시도”라며 “얼라이언스 등과의 연계까지 고려한 체계적 지원을 통해 기업의 자생력과 투자 매력도를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
조달청 혁신제품에 부산·울산 5개사 제품 지정
사회전국 2025.07.16 12:39:21부산지방조달청은 올해 제2차 혁신제품 지정심사에서 부산·울산 5개 사의 제품이 혁신제품으로 선정됐다고 16일 밝혔다. 이번에 선정된 기업과 제품은 국제기산의 ‘왕복식 슬러지 및 스컴 일체형 수집기’, 보라공사의 ‘스마트 공사 관리 시스템 더공’, 알유케이의 ‘알루미늄 무도장 논슬립 데크’, 트렉스타의 ‘방검성능이 부여된 경찰 외근조끼’, 유인의 ‘수성+유성 결합 하이브리드 철재 및 콘크리트 표면 보호용 도막재’다. 혁신제품 지정제도는 공공부문이 혁신제품의 첫 번째 구매자가 돼 상용화 전 시제품의 기술 촉진과 판로 개척을 지원하는 제도다. 혁신제품으로 선정될 경우 최대 6년 동안 수의계약, 구매목표제, 구매면책 등 다양한 판로 지원 혜택이 주어지며 단가계약·시범구매·해외실증 등 사업화와 수출 확대의 기회도 제공된다. 신봉재 부산조달청장은 “지역 공공기관이 적극적으로 혁신제품을 구매해 혁신기업의 성장 기반을 마련해 달라”며 “관내 기업을 적극 발굴해 공공조달시장 진입 및 성장 지원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
부산시, 2028년 세계마술챔피언십 유치 확정
사회전국 2025.07.16 12:38:442028년 부산에서 세계 최대 마술 축제가 열린다. 16일 부산시에 따르면 15일(현지시간)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열린 세계마술연맹(FISM) 총회에서 ‘제30회 세계마술챔피언십’(FISM WCM 2028) 개최지로 부산이 최종 선정됐다. 부산은 캐나다 퀘벡과의 치열한 경합 끝에 235표를 얻어 176표에 그친 퀘벡을 누르고 2018년에 이어 10년 만의 두 번째 유치에 성공했다. 이번 유치는 52개국 74명의 마술클럽 회장단이 참여한 가운데 이뤄졌다. 시는 뛰어난 국제행사 운영 경험, 벡스코 등 우수한 공연 인프라, 편리한 교통 접근성, 그리고 FISM 집행부와의 지속적인 교류 등 탄탄한 네트워크가 유치의 원동력이었다고 설명했다. 2028년 7월 17일부터 26일까지 열흘 간 벡스코와 해운대 해수욕장을 중심으로 부산 전역에서 펼쳐질 이번 챔피언십에는 55개국 3000여 명의 마술사와 관계자가 참가하고 20만 명의 국내외 관람객이 몰릴 전망이다. 본선 경연, 갈라쇼, 해변 버스킹, 국제 컨퍼런스, 시민 체험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도 마련될 예정이어서 관광·공연문화와 경제에 상당한 파급효과를 불러올 것으로 기대된다. 시는 20년간의 부산국제매직페스티벌 운영 경험을 살려, 이번 대회를 통해 도시 브랜드와 마술산업의 국제경쟁력을 한층 높인다는 구상이다. 박형준 시장은 “세계적인 마술 올림픽 유치는 부산의 문화도시 위상 확립과 지역경제 활성화의 계기가 될 것”이라며 “성공적인 대회 개최를 위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은 2018년에도 세계마술챔피언십을 유치해 2199명의 해외 참가자와 19만3917명의 관객을 불러 들여 약 427억 원의 경제효과를 기록한 바 있다. -
경영진 지분 매도에도…"실적 상승세 계속된다" 실리콘투 순매수 1위[주식 초고수는 지금]
증권국내증시 2025.07.16 12:33:34미래에셋증권(006800)에서 거래하는 고수익 투자자들이 16일 오전 가장 많이 순매수한 종목은 실리콘투(257720)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날 미래에셋증권에 따르면 미래에셋증권 주식 거래 고객 중 최근 1개월 동안 투자수익률 상위 1%에 해당하는 ‘주식 초고수’들이 오전 11시까지 가장 많이 사들인 종목은 실리콘투, 미래에셋증권,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 등이었다. 순매수 1위인 실리콘투는 화장품 유통 플랫폼 기업이다. 실리콘투는 유럽에서의 호실적에 미국 매출 회복세까지 더해지며 올 2분기 실적이 개선됐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초고수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몰린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실리콘투는 경영진이 증여세 마련을 위해 지분 일부를 장내매도 하면서 주가가 급락한 바 있다. 김성운 대표를 포함한 특별관계자들은 올 2분기에만 39만3862주(지분율 0.6%)를 매도한 데 이어 이달 들어서도 추가로 지분을 매도했다. 다만 증권업계에서는 경영진의 지분 매도는 대표이사의 상속·증여세 납부 목적의 일시적 유동화와 임원 진의 일부 차익 실현에 따른 것으로 지배력에는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승윤 유안타증권(003470) 연구원은 "최근 대표이사의 지분 매도 이슈로 주가는 단기적으로 조정을 받았으나 이는 기업 펀더멘털이나 실적 추정에 영향을 주지 않는 사안"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실리콘투는 중동·유럽향 수출 확대와 더불어 브랜드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통해 외형 성장과 이익률을 끌어 올리고 있다. 삼성증권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실리콘투가 올 2분기 연결기준 2820억 원 매출을 기록했을 것으로 내다봤다. 전년 동기 대비 55% 늘어난 수준으로, 지난 2분기 영업이익은 1년 전과 비교해 54.8% 증가한 603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했다. 순매수 2위는 미래에셋증권이다. 미래에셋증권은 이날 국내 증권주 주가가 일제히 하락하는 가운데 초고수들이 저가 매수에 나선 것으로 풀인된다. 이날 오전 미래에셋증권 주가는 개장 직후부터 하락해 전 거래일 대비 5% 넘게 떨어진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같은 시각 다른 증권주들도 2~5%대 하락하고 있다. 증권주는 최근 코스피 상승과 함께 정부의 자본시장 활성화 정책 수혜 기대로 큰 폭 올랐다. 과도한 기대감을 경계하는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전날(15일) 밤에 발표된 미국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에서 관세 여파가 확인되면서 차익실현 매물이 쏟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시장에서는 미래에셋증권을 비롯한 증권주들이 장기적 관점에서는 코스피 상승과 함께 힘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고연수 하나증권 연구원은 미래에셋증권에 대해 "단기적으로 밸류에이션 부담은 존재하나 여전히 투자 매력도 높다고 판단한다"며 "올해 주주환원 확대 기조 속에서 실적 성장을 기대할 수 있고 특히 투자목적자산(9조 8000억 원) 중 인공지능(AI), 우주, 방산 등 해외 혁신기업 중심으로 공정가치 재평가가 나타나 올해 호실적에 기여할 전망"이라고 했다. 순매수 3위는 대표적인 국내 대표적인 방산주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최근 3조 원에 육박하는 역대 최대 규모 유상증자를 마무리한 바 있다. 구주주 청약률이 100%를 넘겨 106.4%를 기록했고 일반공모 청약 경쟁률은 227.6 대 1, 최종 경쟁률은 1.93대 1로 각각 집계됐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흥행 성공에 대해 회사가 제시한 글로벌 성장 전략과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선제 투자 계획이 일반 투자자들의 공감을 얻은 결과라고 설명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주가 역시 유상증자 발표 당일인 3월 20일 72만 2000원에서 전날 종가 기준 85만 3000원으로 18.1% 상승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유상증자로 확보한 자금을 국내외 대규모 설비 투자에 사용할 계획이다. 이번 유상증자를 통해 확보한 2조 9188억 원은 해외 생산능력 구축(1조 3000억 원), 합작법인 설립(9188억 원), 추진장약(MCS) 스마트 팩토리 구축(6000억 원), 공장 설비 운영 투자(1000억 원) 등에 투입할 예정이다. 이날 순매도 상위 종목은 두산에너빌리티(034020), 펩트론(087010), 한국전력(015760) 등이었다. 전일 순매수는 두산에너빌리티, 펩트론, SK이노베이션(096770) 등의 순으로 많았으며 전일 순매도 상위는 파마리서치(214450), 휴젤(145020), HD현대일렉트릭(267260) 등이었다. 미래에셋증권은 자사 고객 중에서 지난 1개월간 수익률 상위 1% 투자자들의 매매 종목을 집계해 실시간·전일·최근 5일 기준으로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상에서 공개하고 있다. 이 통계 데이터는 미래에셋증권의 의견과 무관한 단순 정보 안내이며 각각의 투자자 개인에게 맞는 투자 또는 수익 달성을 보장하지 않는다. 또 테마주 관련 종목은 이상 급등락 가능성이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
오후 12:30 현재 코스닥은 38:62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운송업(1.85%↓)
증권News봇 2025.07.16 12:30:2216일 오후 12시 30분 현재 코스닥은 전일 대비 1.45p(-0.18%) 하락한 811.43로, 38(매도):62(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운송업(-1.85%), 오락·문화업(-1.61%), 유통업(-1.35%)이며, 강세업종은 통신업(+2.14%), 기타 제조업(+0.59%), 기계·장비업(+0.58%)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운송업이 19:81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통신업은 64:36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1,399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1,137억, 기관은 204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SGA(049470)가 29.98% 오른 1,539원을 기록 중이고, 톱텍(108230)(+29.78%), 코스텍시스(355150)(+26.53%)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CSA 코스믹(083660)(-15.07%), 디와이디(219550)(-14.89%), 자이언트스텝(289220)(-8.16%)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1109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2개 종목을 포함해 522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12:30 현재 코스피는 36:64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비금속광물업(1.17%↓)
증권News봇 2025.07.16 12:30:1216일 오후 12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9.77p(-0.61%) 하락한 3195.51로, 36(매도):64(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증권업(-4.08%), 보험업(-1.98%), 금융업(-1.79%)이며, 강세업종은 전기가스업(+0.43%), 운수장비업(+0.22%), 전기전자업(+0.19%)이다. 수급측면으로는 비금속광물업이 23:77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전기전자업은 58:42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4,368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2,706억, 기관은 2,169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티와이홀딩스우(36328K)가 29.89% 오른 8,430원을 기록 중이고, 성안머티리얼스(011300)(+15.84%), 하이스틸(071090)(+15.55%)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달바글로벌(483650)(-6.85%), 미래에셋증권(006800)(-5.76%), SBS(034120)(-5.69%)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685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215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경기도, 폭우 대비 재난안전대책본부 비상 2단계 가동
사회전국 2025.07.16 12:26:30경기도는 16일 오후부터 중부 지방에 많은 비가 예상된다는 예보에 따라 이날 오후 1시 부로 재난안전대책본부 비상 2단계를 가동하는 선제적 대응에 나선다. 기상청은 경기도 전역에 강하게 발달한 비구름이 유입되어 18일 오전까지 경기남부 최대 200mm 이상, 경기북부 최대 150mm의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올 들어 최고 수준의 강우가 예상됨에 따라 집중호우로 인한 인명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시군과 관련 부서에 철저한 사전대비를 당부하는 특별 지시를 내렸다. 주요 지시사항은 △지하차도, 하천산책로, 세월교, 둔치주차장, 야영장 등 침수우려가 있는 도민이용시설에 대해 사전통제 실시 △반지하주택, 산사태취약지역 등 우선대피대상자 안부 전화 및 사전대피 권고 △하천공사장 유수소통 지장물 제거 등 현장점검 및 현장관리자 비상대기 △선행강우 이후 호우로 인한 산사태 발생우려에 대비한 사전점검 및 예찰 등이다. 비상 2단계에서는 상황관리, 소관 시설별 피해 응급복구, 긴급생활안정 지원 등 12개 반 29명이 시군 재난안전대책본부와 협업해 피해현황 및 대응상황 등을 점검하며 호우에 대비한다. 김 지사는 “올해 들어 이번처럼 많은 비가 예보된 것이 처음인 만큼 선제적으로 대응체계를 가동하고, 위험시설에 대한 사전점검과 예찰, 위험상황 발생시 선제적 사전대피 등을 적극 권고해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김 지사는 지난 15일 오송 지하차도 참사 2주기를 맞아 “안타까운 비극을 반복하지 않겠다는 다짐으로, 다시 한번 현장을 살피고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
경기관광공사, 생성형 AI로 홍보영상 자체 제작
사회전국 2025.07.16 12:22:53경기관광공사는 생성형 AI(Generative AI)를 활용해 홍보영상을 공사 내부에서 직접 제작, 온·오프라인 매체를 통해 본격 송출을 시작했다고 16일 밝혔다. 공공기관이 외주 중심 제작 방식을 벗어나 내부 인력이 직접 콘텐츠를 기획·제작하고 매체 확산까지 실행한 새로운 사례다. 제작 된 영상은 총 2편으로 경기관광 홍보영상 ‘사랑도 여행도 경기도(30초)’와 개인정보보호 캠페인 영상(60초)이다. 특히 ‘사랑도 여행도 경기도’는 한 여성의 유년기부터 노년까지, 인생의 순간마다 경기도가 함께했던 추억을 담아 낸 감성 영상으로, 빠른 전개와 AI 기반의 고화질 이미지로 몰입감을 높였다. 영상은 경기관광 유튜브에서 확인 할 수 있다. 공사에 따르면 이번 AI 활용 영상 제작을 통해 비용·시간·저작권·관리 면에서 혁신적 개선을 이뤄냈다. 기존 홍보 영상 제작을 위해서는 외주 업체를 통한 계약이 필요 해 행정절차에 따른 예산, 촬영 시간, 모델 저작권 등 제약이 있는 반면 AI 영상제작은 최소한의 비용과 시간으로 효율적 제작, 관리가 가능해졌다. 또한 AI 상업용 라이선스를 활용한 저작권 확보, 콘텐츠 재사용 및 확산 관리의 용이성 등 실질적 혁신 효과도 얻었다. 공사는 이번 영상 기획, 제작, 편집 모두 약 7일이 걸렸고 예산은 AI 월 구독료만 사용했다고 전했다. 영상을 기획, 제작 한 공사 홍보마케팅팀 관계자는 “AI는 미래가 아닌 현재”라며 “기존 촬영에만 수개월이 걸리고 예산이 수천만 원 필요하던 방식을 과감히 벗어나, 새로운 AI라는 수단을 활용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조원용 사장은 “AI 활용의 정도가 곧 업무 효율을 결정하는 시대”라며, “공사는 앞으로 단순 AI 도입을 넘어 홍보, 상품 기획, 고객 응대 등 다양한 부문에 AI를 활용, 업무 효율성을 높여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천안함 피격, 이듬해” vs “이희호·현정은도 조문”…고용 장관 후보 ‘방북 공방’
사회사회일반 2025.07.16 12:02:06여야가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의 2011년 방북 신청을 두고 부딪쳤다. 여야의 김 후보자 검증 대상은 각각 정책 능력과 대북관으로 확연하게 갈렸다. 16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가 이날 연 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우재준 국민의힘 의원은 김 후보자에게 2011년 사망한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 조문 신청이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우 의원은 “2010년 천안함 피격 후 1년 만에 조문을 신청할 수 있느냐”고 지적했다. 당시 정부는 조문을 불허했다. 김 후보자는 “남북 긴장 완화를 위해 민간인으로서 한 결정”이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다른 국힘 의원들은 김 후보자의 대북관에 대한 공세 수위를 높였다. 김 후보자가 민주노총 위원장이던 시절 민주노총 통일위원회에서 발간한 저서와 행사가 북한을 옹호한다는 식의 질의를 쏟아냈다. 결국 여야는 김 후보자가 주적을 누구라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답변을 두고 부딪쳤다. 김 후보자는 “대한민국을 위태롭게 하는 세력”이라고 답했다. 여야는 전일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 청문회에서 주적이 누구인지를 두고 충돌했다. 국힘은 ‘북한은 주적이 아니다’란 정 후보자의 발언에 대한 비판을 김 후보자의 청문회장으로 옮겨왔다. 청문회 시작부터 노란봉투법(노조법 2·3조 개정안) 제정 필요성을 비롯해 이재명 정부의 노동 정책 질의를 이어가던 민주당도 국힘 공세에 맞서 이 후보자를 엄호했다. 박홍배 민주당 의원은 “2011년 이희호 여사와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 등 민간인이 조문을 위해 방북했다”며 당시 민간 차원에서는 조문이 가능했다고 강조했다. 민주당은 주적관에 대한 김 후보자의 입장 정리가 필요하다며 국힘의 요구한 정회도 거부했다. 국힘 의원 전원은 항의를 위해 청문회장에서 나갔다. 정혜경 진보당 의원은 이 정부에서 윤석열 정부의 탄압 정책을 중단해야 한다며 정책 검증 필요성을 질의로 환기했다. -
[정오 시황] 코스닥 810.80, 하락세(▼2.08, -0.26%) 지속
증권News봇 2025.07.16 12:00:43코스닥이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세로 장 중반에도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16일 오후 12시 0분 현재 코스닥은 전일 대비 2.08p(-0.26%) 내린 810.80로, 37(매도):63(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1,389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1,160억, 기관은 180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업종별로는 운송업(-2.30%), 오락·문화업(-1.44%), 제약업(-1.35%) 등 대부분의 업종이 내림세를 보이고 있으며, 통신업(+1.75%), 기계·장비업(+0.58%), 기타 제조업(+0.57%) 등 일부 업종만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시가총액 상위 20개 종목 중 13개 종목이 내림세로 출발한 가운데, 디와이디(219550)(-13.71%), 플리토(300080)(-8.13%), 자이언트스텝(289220)(-7.93%)도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SGA(049470)(+29.98%), 톱텍(108230)(+29.78%), 코스텍시스(355150)(+26.97%) 등은 상승 출발했다.현재 하락종목은 1110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2개 종목을 포함해 515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12:00 현재 코스닥은 37:63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종이·목재업(0.42%↓)
증권News봇 2025.07.16 12:00:2516일 오후 12시 0분 현재 코스닥은 전일 대비 2.25p(-0.28%) 하락한 810.63로, 37(매도):63(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운송업(-2.30%), 오락·문화업(-1.44%), 제약업(-1.36%)이며, 강세업종은 통신업(+1.75%), 기타 제조업(+0.58%), 기계·장비업(+0.53%)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종이·목재업이 22:78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기타업은 51:49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1,389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1,160억, 기관은 180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SGA(049470)가 29.98% 오른 1,539원을 기록 중이고, 톱텍(108230)(+29.78%), 코스텍시스(355150)(+27.06%)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디와이디(219550)(-13.71%), 플리토(300080)(-8.13%), 자이언트스텝(289220)(-7.93%)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1111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2개 종목을 포함해 515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정오 시황] 코스피 3193.07, 하락세(▼22.21, -0.69%) 지속
증권News봇 2025.07.16 12:00:25코스피이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세로 장 중반에도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16일 오후 12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22.21p(-0.69%) 내린 3193.07로, 37(매도):63(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4,695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2,909억, 기관은 2,228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업종별로는 증권업(-3.94%), 금융업(-1.87%), 보험업(-1.85%) 등 대부분의 업종이 내림세를 보이고 있으며, 전기가스업(+0.35%), 전기전자업(+0.14%) 등 일부 업종만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시가총액 상위 20개 종목 중 14개 종목이 내림세로 출발한 가운데, SBS(034120)(-5.91%), 달바글로벌(483650)(-5.78%), 우리금융지주(316140)(-5.23%)도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티와이홀딩스우(36328K)(+29.89%), 하이스틸(071090)(+15.90%), 성안머티리얼스(011300)(+15.38%) 등은 상승 출발했다.현재 하락종목은 703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202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