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銀 자산 건전성 양호는 착시현상" PF대출 줄었지만 건설·부동산업 대출은 늘어예대마진 축소등 신규 리스크 우려도 더 커져예금보험료 재산정 앞두고 전면 실태조사 필요 이종배 기자 ljb@sed.co.kr 김영필기자 susopa@sed.co.kr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연체율 하락 등 최근의 상호저축은행 자산건전성 개선 조짐이 ‘착시현상’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겉모습과 달리 속으로는 건설ㆍ부동산 대출이 계속 늘어 건전성이 악화되고 있고 예대마진 축소 등에 따른 신규 리스크도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또 이 같은 상황에서 상호저축은행에 대해 영업구역 광역화, 지점설치 기준 완화 등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규제완화는 리스크를 확대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17일 예금보험공사가 최근 작성한 ‘상호저축은행 주요 리스크 요인 분석’ 보고서에서는 저축은행의 자산건전성이 양호해보이는 ‘착시현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 보고서에서는 아울러 PF에 이어 기업 주택담보대출발 리스크가 새로 생겨나고 있으며 대형 저축은행의 증권사 인수등 타 금융업 진출은 신규 위험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겉으로는 건전성 ‘양호’=예보는 보고서에서 저축은행의 주요 건전성 지표는 양호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PF 대출 증가세가 주춤하고 연체율이 하향 조정되고 있다는 것. PF 대출금은 지난해 6월 12조4,000억원에서 12월 12조1,000억원, 올 2월 12조3,000억원 등으로 소폭 증가세에 머물고 있다. 전체 대출에서 PF 비중은 지난해 말 25.7%에서 지난 2월 25.5%로 떨어졌다. PF 대출 연체율도 지난해 말 현재 11.6%로 6개월 전에 비해 1.2%포인트 하락했다. 저축은행의 수신은 크게 늘고 있다. 지난해 8월 이후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인 저축은행의 총수신은 2월 말 현재 53조2,000억원에 달한다. 특히 지난해 12월부터 올 2월까지 3개월 동안 6조2,000억원가량 수신이 늘었다. ◇연체율 하락 등은 착시현상에 불과=문제는 속내를 보면 ‘건전성 개선’과는 거리가 멀다는 데 있다. PF 대출 비중이 감소한 것은 PF 대출 편중현상 완화보다 총대출금이 증가한 결과다. 실제 총대출금은 2007년 6월 42조8,000억원에서 12월 47조1,000억원, 올 2월 48조2,000억원으로 급증했다. 또 PF 대출 연체율이 하락한 것은 PF 대출의 워크아웃 편입이 늘면서 연체 중인 PF 대출 일부가 미연체로 분류됨에 따라 나타난 현상이다. 예보 및 저축업계는 PF 워크아웃 채권을 포함해 실제 연체율을 재산정할 경우 지금보다 크게 올라갈 것으로 보고 있다. PF 대출 감소도 이들 PF 대출이 일반 부동산 대출로 전환된 것이 크게 작용했다. 실제 PF 대출은 줄고 있지만 다른 계정인 건설업과 부동산업 대출은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건설업 대출은 지난해 6월 4조5,000억원, 12월 5조1,000억원, 올 2월 5조2,000억원으로 늘었다. 부동산업 대출도 지난해 6월 5조3,000억원에서 올 2월 6조7,000억원으로 크게 늘었다. 총수신 증가도 경영개선에는 크게 기여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타 금융권과의 대출 경쟁으로 인해 예대금리 차가 크게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2월 말 현재 예대금리 차는 5.16%로 2007년 9월 말보다 0.42%포인트 축소됐으며 감소세가 계속되고 있다. ◇신종 리스크 우려 커져=더 큰 문제는 PF의 잠재부실 위험이 지속되는 가운데 기업 주택담보대출 리스크 등 신종 리스크에 대한 경고음은 더욱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돈의 운용처를 찾지 못한 저축은행들이 중소기업 등 소규모 업체를 대상으로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경쟁적으로 확대한 데 따른 것이다. 실제 저축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12월 11.6%에서 올 2월 12.6%로 상승했다. PF 대출 연체율보다 더 높다. 이 가운데 중소기업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이 기간 동안 13.4%에서 14.3%로 14%대를 넘어섰다. 예보는 보고서에서 또 저축은행들이 대형화ㆍ탈서민화를 추진하고 있는데 오히려 이것이 특정 대출 쏠림을 심화시키고 그룹 계열사 간 리스크 전이를 촉발할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이에 대해 저축은행업계의 한 관계자는 “연체금액이 준 것은 회수율이 높아진 것이 원인이고 예대마진 축소는 모든 은행에 적용되는 것”이라며 설명했다. 금융연구원의 한 관계자는 “하반기 예금보험료 재산정을 앞둔 시점에서 최근 금융위원회 등의 규제완화로 상호저축은행의 리스크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적절한 예금 보험료 재산정을 위해서라도 대대적인 실태조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금융위는 상호저축은행에 대한 전면적 실태점검 여부를 놓고 고민 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