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2000여 곳의 모임인 코리아스타트업포럼(코스포)이 정부 사업 ‘컴업’(COME UP)을 주관하는 것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사업을 지속 유치하려면 아무래도 정부 입김에 휘둘릴 가능성이 높아 순수 민간단체의 독립성을 잃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회비 부족·수익사업 부재 등으로 재정이 열악한 코스포로서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일 수도 있지만, 업계 이익을 대변하는 단체의 성격을 고려하면 적절하지 않다는 것이다. 다만 코스포는 재무적 원인으로 컴업 사업을 주관하지 않았으며 추후 독립성 또한 유지할 것이라는 입장이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코스포는 올해 11월 8일부터 사흘간 서울 중구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리는 컴업 행사를 위해 홈페이지를 오픈하고 본격적인 준비에 돌입했다. 컴업은 국내 최대 규모 스타트업 투자 연계·네트워킹 행사로 1997년 시작된 ‘벤처창업대전’이 모체다. 지난해 약 5만 7000명이 3일 동안 온·오프라인으로 참관했다. 총 24억 원의 중소벤처기업부 예산이 매년 투입된다. 코스포는 지난해 중기부에서 처음 사업을 따내 내년까지 3년간 행사를 주관하고, 이후 중기부가 구성한 외부 전문가 집단 판단에 따라 추가 2년 동안 사업을 수행할 수 있다.
코스포 재정은 스타트업들의 후원으로 운영되는 탓에 넉넉치는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아무리 재정 상황이 어려워도 민간단체가 정부 예산 사업을 맡으면 독립성이 훼손될 수 있다는 게 업계의 시각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그동안 정부 위탁 사업을 해왔던 단체나 협회의 사례를 보면 고정 인건비 유지를 위해 재계약에 매달릴 수 밖에 없어 결국 친정부 기조를 벗어나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며 “리서치, 정책 개발, 업계 의견 수렴 등 본연의 역할 보다 위탁 사업 성공에 더 무게 중심을 두는 단체들도 꽤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업계 한 관계자는 “대규모 정부 사업을 위탁 받아 ‘먹거리’로 삼고 있는 민간단체가 과연 스타트업의 입장을 객관적으로 대변할 수 있을 지 의문”이라며 “아무리 재정 상태가 안 좋아도 스타트업 대표성을 유지하려면 의사 단체나 변호사 단체처럼 정부 사업을 맡지 않는 것이 낫다”고 지적했다.
코스포는 이에 대해 “창립 이후 재무적 건전성을 유지하고 있다”며 “정부 보조금은 컴업에만 사용되며 집행되지 않은 예산은 환수돼 코스포 재정에 영향을 미칠 여지가 적다”고 말했다. 이어 “컴업을 주관하는 목적은 국내 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라며 "연장 계약이 안되면 담당 인력은 다른 부서에 재배치해 독립성이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