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잇따른 의약품 품귀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원료 자급률 제고에 팔을 걷어 붙였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원료 의약품 개발을 지원하고 보건복지부는 약가제도 개혁을 추진한다. 업계는 국산 원료를 사용하는 의약품의 가격을 올리면 자급률은 자연스럽게 오를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식약처 산하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는 ‘아세트아미노펜(원료, 완제)’ 생산기술 개발 사업 참여자를 오는 28일까지 모집한다. 선정된 개발 기관은 1년 6개월 동안 연구비를 지원 받는다. 복지부는 보건 안보 확보를 위해 필수 의약품 적정 보상, 신약개발 노력을 자극하는 혁신에 대한 보상에 역점을 두고 건강보험 약가제 개편을 추진 중이다.
정부가 원료약 자급률 제고에 힘을 쏟는 이유는 안정적인 의약품 수급을 위해서다. 실제 지난해 말 조제용 감기약 품귀, 올해 초 변비약 부족 사태는 원료 부족이 주된 요인이었다. 감기약의 경우 코로나19 영향 등으로 수요는 늘어난 반면 원료 의약품 가격 급등으로 공급은 위축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하나제약에 따르면 2019년 8.9원이었던 아세트아미노펜 1g 당 매입가는 2021년 10원을 돌파했고 올해 2분기 현재 현재 15원까지 치솟았다.
원료 의약품을 주로 해외에서 수입해 쓰다보니 글로벌 공급망에 문제가 생기면 우리나라는 직격탄을 맞을 수 밖에 없는 구조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대부분 중국에서 들여오다 최근 인도 등지로 공급처를 다변화하고 있다”며 “하지만 일부 국가는 품질 문제가 제기돼 의약품 수급 상황을 반영해 수입처를 적극적으로 확대하기도 쉽지 않은 형편”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의약품 품귀 사태를 막고 보건 안보를 확립하기 위한 근본적 해결책은 국내 원료약 자급률 제고라는 게 중론이다. 하지만 2020년 36.5%였던 국내 원료 의약품 자급률은 2021년 24.4%, 2022년 11.9%로 오히려 뒷걸음질치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K바이오 기술력을 감안할 때 아세트아미노펜 등 원료 의약품을 만드는 게 어렵지는 않다”며 “한 정당 50원 미만인 약품이 수두룩한 상황에서는 싼 수입산을 쓸 수 밖에 없다. 국산 원료를 사용하는 약 값을 제대로 쳐줘야만 원료약 자급률이 오를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