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훈 신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7일 취임하며 인공지능(AI) 3대 강국(G3) 도약을 약속했다. AI 기업인 출신인 그는 부처 공무원들부터 앞장서서 AI 활용 능력을 키워나갈 것도 주문했다.
배 장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취임식을 갖고 “정부 제1호 공약인 AI 3대 강국 도약을 실현하기 위해 튼튼한 AI생태계를 갖추고 AI를 누구나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며 “AI 고속도로 구축을 위해 국가 AI컴퓨팅 센터, 슈퍼컴 6호기 등 세계 수준의 AI 인프라를 조속히 확충하겠다”고 밝혔다.
배 장관은 AI 안전·신뢰 기반과 사이버 보안 체계 마련, AI 파운데이션 모델 확보와 공공·지역·산업 모든 영역의 AX(AI 전환) 지원, AI 스타트업의 유니콘 성장 지원 등을 약속했다. 그는 특히 “AI반도체는 신경망처리장치(NPU), 프로세싱인메모리(PIM) 등 차세대 기술을 빠르게 확보하겠다”며 “국가AI위원회가 명실상부한 실질적인 국가 AI 컨트롤타워가 되도록 지원하고 AI기본법 하위법령도 조기에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과학기술 연구개발(R&D)에도 AI를 적극 도입한다. 배 장관은 또 “기초과학 등 과학기술 분야에서도 AI는 필수가 됐다”며 “혁신적 연구성과 도출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AI 도입·활용을 지원하겠다”고 했다. R&D 예비타당성 조사 폐지, 민간 전문가 참여를 통한 과학기술 정책 거버넌스 개방, 정부출연연구구기관 혁신, AI·과학기술 인재 양성, 소외계층을 위한 ‘모두의 AI’ 정책 추진도 언급했다.
배 장관은 과기정통부부터 AI를 선제 도입해야 이 같은 정책들을 제대로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국산 AI 모델 ‘엑사원’을 개발한 LG AI연구원장으로서 민간 AI 기업 노하우를 부처에도 적용하겠다는 것이다. 그는 직원들에게 “AI를 업무의 동반자로 받아들이는 열린 마인드를 가져주시길 당부드린다”며 “보안 등의 이유로 당장은 모든 업무에 AI를 적용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은 잘 알고 있지만 간단한 자료 정리,아이디어 발굴과 같이 작은 부분부터 AI를 활용해보며 업무 방식에 의미 있는 변화를 만들 갈 수 있다”고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