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체내 조직 ‘갈색지방’의 퇴화 원리를 밝혀냈다. 퇴화를 막음으로써 갈색지방과 관련된 질환인 비만과 당뇨를 예방할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이혁종 혈관연구단 연구위원 연구팀이 갈색지방 세포가 비활성화될 때 일어나는 지방 축적의 새로운 기전을 규명했다고 12일 밝혔다. 연구성과는 지난달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게재됐다.
갈색지방은 포도당을 분해해 열을 발생시키는 체내 조직이다. 이를 통해 비만과 당뇨 예방에 도움을 준다. 갈색지방이 열을 제대로 만들지 않으면 이 조직에 지방이 축적되면서 결국 기능이 퇴화하는데 이런 퇴화 기전은 아직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실험쥐에게 30°C 이상의 고온이나 교감신경이 제거된 환경에 노출시킴으로써 인위적으로 갈색지방의 열 생성능력을 떨어뜨린 후 관찰했다. 그 결과 쥐의 혈관내피세포에서 분비되는 줄기세포성장인자가 갈색지방 내 ‘시키트 수용체’와 결합해 지방을 쌓이게 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발견했다. 갈색지방의 열 생성능력이 떨어지면 시키트의 발현이 일시적으로 증가하고 이것이 새로운 지방 생성을 촉진하면서 결국 갈색지방에 지방이 축적된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번 성과가 향후 갈색지방의 기능 개선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이 연구위원은 “갈색지방의 기능저하와 퇴화를 선택적으로 억제해 대사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인 약물을 개발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