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내에서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와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낙마 여론이 조금씩 커지고 있다. 두 후보자를 둘러싼 논란이 장기화될 경우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도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김영진 민주당 의원은 17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강 후보자의 갑질 의혹에 대해 “피해를 당했다고 말씀하시는 분들의 의견이기 때문에 분명히 청취해볼 필요가 있는 사안”이라며 “국민의 눈높이를 당사자와 인사권자가 깊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국회 보좌관 출신으로 원조 친명(친이재명) 그룹 ‘7인회’의 멤버인 이 대통령의 핵심 측근이다.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비서실장을 지낸 ‘5선’ 박지원 민주당 의원은 “김 대통령께서 ‘정치라고 하는 것은 내가 생각하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국민의 생각을 따르는 것’이라고 했다. 민심을 거역해서는 안 된다는 얘기”라고 설명했다. 두 후보자의 낙마에 힘을 실은 셈이다.
직접적인 ‘자진 사퇴’ 목소리도 나왔다. 같은 당의 김상욱 의원은 이 후보자를 겨냥해 ‘개인적 의견’을 전제로 “대통령께 그만 부담을 주셨으면 한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교육부 장관으로 나오시는 분이 제자의 오탈자까지 그대로 복사한 것은 아무리 이공계 논문의 특수성을 고려하더라도 적절치 않다”며 “대통령께서 (이 후보자의) 교육 개혁 경험을 믿고 기회를 주신 것 같지만 논문 표절까지 있을 줄은 몰랐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민주당은 장관 임명 최종 권한이 대통령에게 있는 만큼 ‘부적격’ 명시를 해서라도 청문보고서 채택을 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다만 두 후보자가 인사청문회에서 제기된 의혹을 명확하게 해명하지 못했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고심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 후보자의 경우 ‘정책’ 관련 답변마저도 미흡했다는 지적이 내부적으로 나오고 있다.
김현정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국민의힘의 청문보고서 채택 보류 방침을 ‘국정 발목 잡기’로 규정하며 “보고서 채택과 특정 후보자의 낙마는 거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반박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아직 특별한 기류 변화가 없다”며 원론적인 입장을 유지했다. 정가에서는 대통령실이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끝나면 주말께 결론을 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한편 국민의힘은 혁신위를 둘러싼 갈등이 장기화 국면으로 흐르면서 대여(對與) 공세는커녕 내홍만 커지는 모습이다. 윤희숙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은 이날 비대위 참석 직후 혁신안에 대한 당 지도부 반응에 대해 ‘다구리(몰매)’라는 표현까지 써가며 강한 반발에 부딪혔다고 밝혔다. 윤 위원장은 “실명까지 언급했지만 기본적으로 책임지는 분이 없다는 게 국민들 눈에 답답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